Node.JS)04.19( Promise,  동기·비동기적 처리 )
Programming/JS

Node.JS)04.19( Promise, 동기·비동기적 처리 )

반응형

목차

     


     

    2022.04.20 - [Programming/BACKEND] - Node.JS)04.19( ArrowFunction(화살표 함수) )

     

    1. Promise

    • 함수와 비슷한 기능을 갖고 있는 객체.
    • 객체 내의 익명함수의 내용을 실행하고, '결과를 보관'하고 있다가, 결과가 필요할 때 전달받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의 객체.
    const pm = new Promise( /* 익명함수 */);    //promise 객체의 전달인수 없는 선언문.
    • promise 객체는 생성자의 전달인수로 현재 promise객체의 기능을 갖는 '익명함수를 전달하여야 생성'된다.

     

    func = (resolve, reject) => { }
    
    const pm = new Promise( func );

    또는

    const pm = new Promise( (resolve, reject ) => { } );

     

     

    1.1. 전달인수로 전달되는 익명함수의 내용

    • 익명함수에서 실행된 결과의 값이나 상태에 따라 resolve( )함수(성공) 또는 reject( ) 함수(실패)를 실행한다. 
    • 이때 문자로 resolve와 reject에 전달인수로 전달하여 결과가 필요한 곳에서 그 데이터를 꺼내 쓸 수 있게 한다.

     

    • 함수 안에서 반드시 resolve( ) 또는 reject가 호출된다.
    • if문이나 선택실행에 적용하여 둘 중 하나만 실행하여도 되고, 무조건 resolve()나 reject() 하나만 실행하기도 한다.

     

    • resolve(성공리턴 값) -> then으로 연결
    • reject(실패리턴 값) -> catch로 연결
    • finally -> 성공과 실패 리턴값에 상관없이 무조건 실행되는 영역.
    let condition = false;
    // condition = true;
    const pm = new Promise(
        // 전달인수는 resolve, reject
        (resolve, reject ) => {
            if(condition){
                resolve('성공');
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reject('실패')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)
    
    //then과 함께 실행할 처리 이전에 다른 코드가 작성될 수 있다.
    console.log('딴짓');
    console.log('딴짓');
    console.log('딴짓');
    console.log('딴짓');
    console.log('딴짓');
    
    // 이제 결과를 이용한 작업을 시작한다.
    // then과 catch와 finally에 익명함수가 전달인수로 전달되어 실행되게 한다.
    // .then( (message)=>{ })
    // 매개변수의 이름은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.
    // (message)=>{ } : resolve가 호출되어 도착했을 때 실행될 익명함수이다. message변수에 '성공' 전달
    // (error)=>{ } : reject가 호출되어 도착했을 때 실행될 익명함수이다. reject변수에 '실패'전달
    // pm.then((message)=>{ }).catch( (error)=>{ }).finally( ()=>{ } );
    pm
        .then((message)=>{
            console.log(message);   //성공(resolve)한 경우 실행
        }).catch((error)=>{
            console.error(error);//실패(reject)한 경우 실행
        }).finally(()=>{
            console.log('무조건 실행'); //성공,실패중 하나와 함께 반드시 실행된다.
        });
    • (message)=>{ } : resolve가 호출되어 도착했을 때 실행될 익명함수이다. - message변수에 '성공' 전달
    • (error)=>{ } : reject가 호출되어 도착했을 때 실행될 익명함수이다. - reject변수에 '실패'전달

     


     

    1.2. 동기 / 비동기적 처리

    • 동기적 처리 : 코드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순차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처리방식.
      • A작업이 모두 진행될 때 까지 B작업은 대기해야한다.
    • 비동기적 처리 : 비동기적 처리도 마찬가지로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동작을 수행하지만,
      • A작업이 진행되는 동안, B작업의 진행도 동시에 시작한다.

     

    1.2.1. '동기적 처리' 

    //동기 실행
    console.log('작업 시작');
    console.log('작업1 : 오래걸리는 작업');
    const wakeUpTime = Date.now() + 3000;   //현재 시간에 3초를 더한 값을 wakeUpTime 변수에 저장
    while (Date.now() < wakeUpTime){}
    //오래걸리는 작업이 올래걸리는 것 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일부러 시간을 이용한 반복실행을 사용
    //계속해서 현재 시간을 wakeUpTime과 비교하여 그보다 커질때까지 반복실행
    console.log('작업2 : 오래글리는 작업의 다음 작업');
    console.log('작업1, 작업2 순서에 맞춰 작업 끝');

     

    1.2.2. setTimeout( )를 사용하는 '비동기적 처리' 

    • setTimeout( ) 함수는 대표적인 비동기적 처리 함수이다.
    • 앞선 코드가 모두 처리될 때 까지, 다음 코드를 대기시키는 것이 아닌
      앞선 코드가 비동기적 처리 함수이기 때문에 이를 담당하는 프로세스로 넘기고, 다음 코드의 처리를 진행한다.
    • setTimeout( ) 메소드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은 비동기적 API를 제외한 모든 코드가 실행 된 이후 결과를 콘솔에 찍는 특징이 있다.
    // promise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( 동기식으로 무언가를 실행 => 비동기 명령 삽입 )
    const printString = (string, callback) => {
        var k = Math.floor(Math.random() * 10000) + 1;  //0~9초 사이의 랜덤한 시간 계산 (밀리초)
        setTimeout( () => {
            console.log(string + ' ' + k);
        }, k);
        callback();
    }
    // printString('A', function() => { printString ("B", function()=>{} ); } );
    // printString('A', ()=>{});
    // printString("B", ()=>{});
    printString('A', () => {printString ("B", ()=>{}); } );

     

    //비동기 실행
    function longRunningTask(){
        console.log('작업1의 내용 모두 종료 후 끝');
    }
    console.log("시작");
    console.log('작업1 : 오래걸리는 작업 시작');
    console.log('작업1을 비동기 실행으로 전환!');
    setTimeout(longRunningTask, 3000);  //setTimeout이 3초후에 longRunningTask함수를 호출한다.
    // setTimeout은 비동기 함수이기 때문에 별도의 실행쓰레트가 실행을 담당하고, 현재 쓰레드는 다음 명령으로 실행포커스가 이동한다.
    console.log('작업2 : 오래걸리는 작업의 다음작업 시작');
    console.log('작업2만 일단 끝!');

     

    1.2.3. Promise를 사용하는 '비동기적 처리' 

    // Promise로 실행
    console.log('시작');
    let longRunningTask = new Promise(
         (resolve, rejct)=>{
             console.log('작업1 : 오래걸리는 작업 시작');
             setTimeout( () => {console.log('작업1 : 종료'); }, 3000);
             resolve();
         }
    );
    
    longRunningTask
        .then(
            () => {
                console.log("작업2 : 오래걸리는 작업의 다음작업");
                console.log("작업2 : 종료");
            }
        );

     

    // printString 함수의 리턴값을 promise로 활용
    const printString = (string) => {
        return new Promise( (resolve, reject)=>{
            var k  = Math.floor(Math.random()*10000) + 1;
            console.log('동기실행 시작');
            setTimeout(()=>{
                console.log(string + ' ' + k);
            }, k);
            resolve();  // setTimeout의 실행여부와 상관없이 printString("A").then();로 이동
        } );
    }
    printString("A").then(
        () => {
            console.log('동기실행 종료1');
            printString('B');
        }).then(
            ()=>{
                console.log('동기실행 종료2');
            }
        );

     


     

    1.2. 연속된 Promise( )의 then과 resolve 사용

    // 연속 Promise()의 then과 resolve 사용
    const pm1 = new Promise((resolve, reject)=>{
        resolve("첫번째 리졸브");
    });
    
    pm1
        .then((msg1)=>{
            console.log(msg1);
            return new Promise((resoleve, reject)=>{
                resoleve("두번째 리졸브");
            });
        })
        .then((msg2)=>{
            console.log(msg2);
            return new Promise((resoleve, reject)=>{
                resoleve("세번째 리졸브");
            });
        })
        .then((msg3)=>{
            console.log(msg3);
        })
        .catch((error)=>{
            console.error(error);
        });

     


     

    2. Promise 예제

    2.1. 예제01

    숫자 하나를 변수 k에 저장하고,
    k가 짝수면 '짝수입니다', 홀수면 '홀수입니다' 라는 텍스트를 결과로 전달하는 promise를 만들고, 결과를 출력하세요.
    // 숫자 하나를 변수 k에저장하고, 
    // 짝수면 '짝수입니다', 홀수면 '홀수입니다' 라는 텍스트를 결과로 전달하는 promise를 만들고, 
    // 결과를 출력하세요.
    
    const k = 25;
    
    const pm = new Promise((resolve, reject)=>{
            if(k%2 == 0){
                resolve('짝수입니다.');
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reject('홀수입니다')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);
    pm
        .then(
            (message)=>{
                console.log(message);
            })
            .catch((error)=>{
                console.error(error);
            }
        );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